해외직구(직접구매) 방식은 크게 직접구매, 구매대행, 배송대행으로 구분된다. 직접구매란 아마존, 이베이 등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한 물건을 UPS, 페덱스 등 배송업체를 통해 받는 방식이다. 그러나 직접구매방식은 물건 선택부터 배송까지 걸리는 시간은 짧은 대신 배송비용..
113호_2014년 03월 01일1. 폴로 점퍼● 한국 판매가 15만원● 해외직구 구매가 7만5000원 2. 가방● 한국 판매가 14만원● 해외직구 구매가 7만원 3. 폴로 티셔츠● 한국 판매가 7만원● 해외직구 구매가 3만원 4. 노트북● 한국 판매가 170만원● 해외직구 구매가 117만..
113호_2014년 03월 01일“해외직구 하는 사람들 사이 ‘100불 병’이라는 게 있어요. 미국은 땅 덩어리가 넓어 제품 1개를 사더라도 배송비를 내야 하거든요. 그래서 업체들마다 100불, 75불씩 금액을 정해 그 이상 구입하면 무료로 배송해주고 있죠. 무료 배송을 생각해 과소비하는 것, 그게 ..
113호_2014년 03월 01일해외 유명 의류 브랜드를 수입하는 A기업 상담원 B씨는 올 들어 여러 차례 고객으로부터 “똑같은 제품이 해외 온라인 쇼핑몰에서 반값에 팔리고 있으니 국내 판매가를 내려 달라”는 내용의 항의성 이메일을 받았다. 그럴 때마다 그는 “국내 유통가는 미국 본사와 협의 하에 ..
113호_2014년 03월 01일2014년 새해 남북통일이 화두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가 신년사를 통해 남한에 관계 개선을 제의하고, 박근혜 대통령이 통일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조치로 민간 지원과 교류를 강화하겠다고 선언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 1월6일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
112호_2014년 02월 01일- 평양은 통일 후 남한 기업들이 가장 많이 몰려들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은 평양 시내 전경. 통일연구원은 2030년 남북통일의 국내총생산(GDP) 규모가 이듬해 16조원을 시작으로 2050년에는 636조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를 모두 더하면 6300조원이..
112호_2014년 02월 01일- 중국 단둥과의 접경지역인 신의주는 대중국 진출 전략지로서 산업입지 잠재력이 높다. 북한 신의주와 중국 랴오닝성 단둥을 잇는 조중우의교(압록강대교). 통일 이후 북한의 산업구조는 급격하게 재편될 전망이다. 기존 산업시설을 어느 정도 활용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112호_2014년 02월 01일북한은 여전히 ‘동토(凍土)의 왕국’으로 비치고 있다. 하지만 꽁꽁 얼어붙은 폐쇄국가에도 외국인들의 투자 열기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세계 각국의 투자자들은 북한 개방에 대비해 일찌감치 투자 노크를 해오고 있다. 조봉현 IBK경제연구소 수석연구위원에 따르면 201..
112호_2014년 02월 01일짐 로저스 로저스홀딩스 회장은 스스로를 가리켜 ‘도전과 모험을 즐기는 투자가’라고 말한다. 공전의 히트작인 자신의 투자지침서 제목을 라고 정한 것도 그런 이유다. 직접 현장을 찾아가 자신의 눈으로 살핀 뒤 투자를 결정하기에 그는 연중 내내 전 세계를 돌아다닌다. 장..
112호_2014년 02월 01일- 개성공단의 SK어패럴에서 근로자들이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개성공단은 경기도 문산의 자유로 끝 임진각 건너 도라산역에서 약 7㎞ 지점에 위치해 있다. 비무장지대(DMZ)와 개성 시내 사이의 약 330만㎡(100만평)의 야산과 들녘이다. 공단 조성 이전엔 북한의..
112호_2014년 02월 0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