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엑스레이 중복 촬영 등으로 인해 낭비되는 비용이 매년 190억원에 달한다. 중복 촬영을 하지 않더라도 환자 입장에서는 불편한 게 한두 가지가 아니다. A병원에서 검진을 하고 B병원에서 치료받으려면, 환자가 검진 결과를 CD로 굽거나 프린트해 가져가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했다.
의료 업계가 블록체인에 주목하는 건 이런 낭비와 불편을 없앨 수 있다는 가능성 때문이다. 현재 환자의 의료 정보는 공공기관이나 병원 차원에서 한데 모아 관리한다. 환자도 자신의 의료 정보에 접근하기가 쉽지 않다. 병원을 옮길 때마다 불편하게 자료를 찾아다녀야 하는 이유다. 블록체인 기술을 의료 시스템에 접목하면 이런 불편이 사라진다. 환자가 병원으로부터 자신의 의료 정보를 받은 뒤, 의료 블록체인 플랫폼에 올리면 환자나 병원 모두 실시간으로 의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은 높은 보안성이 장점인 만큼 의료 정보가 해킹될 위험이 적다.
미국에서 2016년 한 해에만 450건의 의료 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했고, 2700만 명의 환자 데이터가 유출됐다. 최한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연구원은 “의료기관 간 정보 교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줄일..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