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걸 서울대 산업공학과, 미국 미네소타대 경영학 박사, 카이스트 경영대학 대외부학장, 글로벌리더십센터장 / 사진 채승우 객원기자
김영걸
서울대 산업공학과, 미국 미네소타대 경영학 박사, 카이스트 경영대학 대외부학장, 글로벌리더십센터장 / 사진 채승우 객원기자

“드라마 한 편이 성공하면 뭐 합니까. 왜 성공했는지를 모르는데요. 철저한 고객 분석이 없는 ‘대박’은 지속 가능하지 않습니다.”

2월 11일 대전 대덕동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본교에서 만난 김영걸 카이스트 정보미디어경영대학원 교수는 ‘한국 콘텐츠 산업의 문제점’을 묻는 말에 이렇게 답했다. 지난 20여 년간 국내 콘텐츠 산업을 연구한 그에게서 한국 콘텐츠 산업의 생존 방안을 듣기 위해 인터뷰를 요청했다.

그간 국내 콘텐츠 기업들은 드라마를 제작해 내놓을 뿐 시청자(고객)의 취향을 더 깊이 있게 분석하고 파악하려는 노력이 너무 부족했다는 게 그의 평가였다. 때문에 드라마가 ‘대박’을 치더라도 그 이유를 알 수 없었고, ‘쪽박’을 차더라도 영문조차 몰랐다는 것이다. 이는 차기작의 성공과 실패 또한 전혀 예상할 수 없다는 점에서 지속 가능하지 않다.

반면 콘텐츠 업계의 글로벌 공룡들은 달랐다. 넷플릭스는 방대한 양의 고객 데이터 분석을 통해 2013년 최초로 자체 제작한 콘텐츠인 ‘하우스 오브 카드’의 성공을 점쳤음은 물론이고, 아마존은 2000년이 되기도 전부터 ‘고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통할 것이 무엇인지를 최..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