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3일 한산한 중국 상하이의 금융지구에서 마스크를 쓴 사람이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있다. 사진 블룸버그
2월 3일 한산한 중국 상하이의 금융지구에서 마스크를 쓴 사람이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있다. 사진 블룸버그

미국 경제지 블룸버그의 칼럼니스트 윌리엄 페섹은 2006년 미국과 중국을 ‘주요 2개국(G2·Group of 2)’이라는 용어로 처음 지칭했다. 두 나라가 앞으로 세계 경제를 주도할 것이라는 의미였다. 2010년 국내총생산(GDP) 기준, 중국이 일본을 제치고 세계 2위 경제 대국으로 부상하면서 G2는 현실화했다. 그리고 10년이 지난 현재, 세계 최강대국 미국은 중국과 무역 분쟁에 한창이다. 일각에서는 미국이 급속도로 성장한 중국에 대한 경계심을 드러내는 것으로 본다. 그만큼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매섭다는 뜻이다.

중국발(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신종 코로나)의 파급력이 세계 경제를 뒤흔들고 있는 이유는 중국의 수많은 인구에 더해 급속히 성장한 경제력 때문이다. 중국 경제가 활동을 멈추자 세계 경제가 큰 타격을 입는 이른바 ‘차이나 리스크(China Risk)’의 폭발력이 커진 것이다. 현대경제연구원과 통계청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말 기준 인구수 세계 1위(약 14억 명), GDP 세계 2위(약 14조2000억달러) 국가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1인당 GDP가 처음으로 1만달러를 돌파했다.

블룸버그의 이코노미스..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