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3일 서울 명동 쇼핑가에서 마스크를 쓴 사람들이 걷고 있다. 이날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바이러스 조기 종식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경기 둔화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 블룸버그
2월 3일 서울 명동 쇼핑가에서 마스크를 쓴 사람들이 걷고 있다. 이날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바이러스 조기 종식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경기 둔화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 블룸버그

위기의 한국 경제가 연초부터 암초를 만났다. 중국발(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신종 코로나)은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2%에 턱걸이한 한국 경제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미·중 무역 협상 1단계 합의와 반도체 가격 반등 기대에 힘입은 수출 회복을 발판 삼아 경기 반등 모멘텀을 찾고 있던 한국 경제에 빨간불이 켜진 것이다. 지난해 한국 GDP 성장률은 글로벌 금융위기의 직격탄을 맞은 2009년(0.8%) 이후 1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올해 한국 정부의 GDP 2.4% 성장 목표가 시험대에 오른 셈이다.

1월 20일 국내 첫 신종 코로나 확진 판정이 나온 이후 확진 환자가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감염에 대한 우려로 쇼핑, 공연 관람 등을 자제하는 분위기가 확산해 내수 경기가 얼어붙고 있다. 중국을 오가는 항공 노선이 폐쇄되면서 항공·관광 산업도 위축되고 있으며 바이러스 진원지이자 중국 제조업 허브인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의 현지 공장 가동 중단 사태가 확산하면서 부품 수급에 어려움을 겪는 한국 기업도 늘었다.

수출 경기도 꽁꽁 얼어붙을 조짐이다. 정부는 올해 1월까지 이어진 14개월 연속 수출 마이너스(-)가..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