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 1

구찌는 작년 5월 서울 이태원에 한국 전통의 미를 살려 ‘구찌가옥’을 열었다. 이곳은 소셜미디어(SNS)와 MZ 세대(밀레니얼+Z 세대·1981~2010년생)를 겨냥해 사진 촬영을 권한다. 작년 1월에는 메타버스(metaverse·현실과 가상이 혼합된 세계) 플랫폼 ‘제페토’에서 60여 종의 의상, 신발, 가방과 ‘구찌 빌라’를 선보였다. MZ 세대 제페토 이용자는 1000~4000원에 구찌 옷을 사 아바타에게 입히면서 명품 놀이에 푹 빠졌다. 구찌에 대한 감성을 불러일으키는 이런 내러티브(Narrative·敍事) 전략은 주요 명품 소비층으로 떠오른 MZ 세대에게 환영받았다. 젊은층은 ‘기분 좋다’는 말을 ‘I feel Gucci(나 오늘 구찌해)’라고 표현한다. 구찌는 팬데믹(pandemic·감염병 대유행)에도 지난해 상반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5.8% 늘었다. MZ 세대로부터 외면받을까 봐 걱정하는 다른 명품 업체와 다른 행보다.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