룩셈부르크 정부는 해외 유망 기업과 인재를 자국으로 불러모아 산업과 국가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우주 산업도 마찬가지다. 11월 27일 세계 각지에서 온 사람들이 ‘뉴스페이스 유럽 2018’ 콘퍼런스 현장에서 활발하게 인맥을 쌓고 있다. 사진 마리에 드 데커
룩셈부르크 정부는 해외 유망 기업과 인재를 자국으로 불러모아 산업과 국가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우주 산업도 마찬가지다. 11월 27일 세계 각지에서 온 사람들이 ‘뉴스페이스 유럽 2018’ 콘퍼런스 현장에서 활발하게 인맥을 쌓고 있다. 사진 마리에 드 데커

지난 9월 신설된 룩셈부르크 정부 기관 ‘룩셈부르크우주국(LSA)’은 정부가 야심 차게 추진하는 ‘우주 산업 중심지’를 현실로 만드는 중요한 임무를 맡고 있다. 조직은 유럽연합우주국(ESA)에서 일했거나 관련 산업계에서 경력을 가진 핵심 인재로 구성됐다. 그런데 20명 규모의 이 조직에는 룩셈부르크인이 아닌 외국인 직원도 많다. 국가 자원이 집중되는 핵심 정책 추진 부서의 인력이 자국인뿐 아니라 외국인까지 동원돼 꾸려진 것이다.

룩셈부르크는 2018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내놓은 세계 노동생산성(이하 생산성) 순위에서 아일랜드(95.45달러)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룩셈부르크의 생산성은 93.72달러인데, 이는 현지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시간당 93.72달러어치의 산출량을 냈다는 뜻이다. 한국(34.49달러) 노동자의 2.7배에 달하는 생산성을 낸 것이다. 미국과 독일이 각각 69.63달러, 67.98달러를 기록했다. 또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2018년 룩셈부르크의 1인당 국내총생산은 11만3950달러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2위인 스위스(8만3580달러)와도 격차가 크다. 한국은 3만2050달러다.

이 작은 나라가 유럽은 물..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