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통일은 남한 기업들에게 기회이면서 도전이다. 어떻게 준비하는가에 따라 결과는 확연히 달라진다. 통일 후 한반도의 산업은 어떻게 재편될까. 자본과 기술력을 갖춘 남한 기업들은 북한의 어떤 지역으로 진출하는 것이 유리할까. 북한의 산업 현황에 따른 통일 후 한반도의 산업지도를 가상으로 그려봤다.
- 중국 단둥과의 접경지역인 신의주는 대중국 진출 전략지로서 산업입지 잠재력이 높다. 북한 신의주와 중국 랴오닝성 단둥을 잇는 조중우의교(압록강대교).
- 중국 단둥과의 접경지역인 신의주는 대중국 진출 전략지로서 산업입지 잠재력이 높다. 북한 신의주와 중국 랴오닝성 단둥을 잇는 조중우의교(압록강대교).

통일 이후 북한의 산업구조는 급격하게 재편될 전망이다. 기존 산업시설을 어느 정도 활용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이미 북한의 많은 국영기업들은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조업을 하고 있는 대부분 기업들의 가동률도 크게 낮은 상황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개성공단 입주업체 대표는 “개성이나 평양 인근 지역에 있는 대부분의 공장이 문을 닫은 상태였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통일 이후에도 생존할 수 있는 북한 기업은 매우 제한적일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북한의 주요 산업별 기술수준은 업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남한에 비해 최소 5년에서 최대 30년까지 뒤져 있다. 기술 격차로 인해 우리 기업이 쓸 수 있는 시설이 거의 없다는 얘기다.

건설·관광·지하자원개발·물류산업 특수북한은 산업의 기반과 경쟁력이 취약하지만 이는 반대로 통일 이후 북한 지역 산업의 개발 잠재력이 높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북한의 산업은 중공업 위주의 정책에 따라 그나마 기계공업의 기반이 갖춰져 있으며, 석탄을 원료로 한 화학공업의 발전 가능성이 높다. 낙후되고 빈약한 경공업은 기술혁신에 따라 크게 성장할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