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전체 무료 보기 >>

일본에 없는 오너경영자의 강력한 리더십이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기업 성공 이끌어

- 일본에서는 이병철 회장의 수직계열화가 높이 평가받고 있으며, 정주영 회장의 에피소드도 많이 알려져 있다. 1982년 산업 시찰을 위해 이병철(왼쪽) 삼성그룹 회장과 정주영(오른쪽) 현대그룹 회장이 서울 여의도 전경련 회관에서 걸어 나오고 있다.
- 일본에서는 이병철 회장의 수직계열화가 높이 평가받고 있으며, 정주영 회장의 에피소드도 많이 알려져 있다. 1982년 산업 시찰을 위해 이병철(왼쪽) 삼성그룹 회장과 정주영(오른쪽) 현대그룹 회장이 서울 여의도 전경련 회관에서 걸어 나오고 있다.

2015년은 한·일 수교 50주년의 해다. 양국 간의 관계를 정치외교가 아닌 기업 간 관계에서 본다면 그 역사는 더 거슬러 올라간다. 일본 식민지 시절에는 많은 기업가들이 왕래를 하고 있었다. 1945년 광복 이후 일본인의 왕래가 끊긴 후 수교가 되기 전까지는 한국인 기업가만이 왕래를 했을 뿐이었다. 일본에서는 주로 재일한국인 기업가만이 한국으로 건너갈 수 있었다. 해방으로부터 20년 후인 1965년에 한일국교 정상화가 실현되고, 이를 계기로 20년 만에 일본인 기업가들이 다시 한국으로 가게 됐다. 한국진출의 동기는 다양했으며 한국기업과 기업가에 대한 인식이 깊어졌다.

‘한국의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