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 경영권을 둘러싼 신동주·동빈 형제의 ‘왕자의 난’을 보면서 우리나라 재벌을 보는 국민들의 시선이 다시 따가워졌다. 롯데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이 일어났고, 올해 말 허가가 끝나는 서울 시내 면세점 사업도 지켜낼 수 있을지 미지수다. 경영권 분쟁 과정에서 드러난 롯데의 국적 논란, 특혜 논란이 일면서다. 올해 국정감사에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직접 나와 “왕자의 난은 없다” “롯데는 한국기업이다”고 했지만 불씨는 여전하다. 이 때문에 국내 대기업이 후계 승계 프로그램을 통해 자식 상속이든 전문경영인 영입이든 시장과 소비자들로부터 이해를 얻을 수 있는 투명한 절차를 따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주주 전체 의견 반영하고 투명한 후계 승계 프로그램 갖춰야

롯데그룹 경영권 분쟁을 계기로 부자 또는 형제간 경영권을 세습하는 가족기업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가족기업은 우리나라를 비롯해 아시아에서 두드러진 기업 형태다. 한국가족기업연구소에 따르면 2014년 기준 미국에선 기업의 92%, 노동력의 59%, 신규 직업 창출의 78%, 국내총생산(GDP)의 49%가 가족기업에서 나온다. 영국의 경우도 상위 8000대 기업의 76%가 가족기업이다. 포드·월마트·CNN 등 포춘지가 선정한 500대 기업의 37%가 가족기업에 해당한다. 우리나라를 비롯 인도, 홍콩 등 아시아 지역에도 가족기업이 몰려 있다. 투자은행 크레디트스위스의 연구 결과(2013년)를 보면, 남아시아 주요국에서 시가총액 5000만달러(약 583억원) 이상인 상장기업 10곳 가운데 6곳 이상이 가족기업이다. 인도의 경우 가족기업의 비중이 67%로 가장 높고 필리핀(66%), 싱가포르(63%), 말레이시아(62%), 인도네시아(61%) 등이 뒤를 이었다...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