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가격에 낀 거품을 빼는 것은 공정거래 확립 차원에서 중요한 일이다. 문제는 거품 정도를 가려내기가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집값도 마찬가지다. 시민단체와 일부 학계에서 집값에 거품이 끼어 있다고 주장하면서 다양한 통계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다. 현 시점에서 집값의 적정 수준은 얼마인지 다양한 분석 도구를 통해 살펴봤다. 그리고 적절한 주택 매입시점도 따져봤다.

적정 집값을 살펴보는 것은 주택시장 정상화의 첫걸음이다. 그러나 자유시장경제 체제에서 기준점을 세우는 과정에서 현실적인 벽에 부딪치는 일이 다반사다. 그렇다고 전세가 전체 임대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0%를 넘어설 정도로 절대적인 우리나라에 주세와 월세 중심의 다른 나라 잣대를 적용하는 것도 무리다. 또 국내에는 선 분양, 후 입주 방식으로 아파트가 공급되다 보니 분양과 입주 사이 2~3년이라는 시간차가 늘 존재한다. 참여정부의 부동산정책 핵심브레인이었던 김수현 세종대 교수는 “역대 정권마다 집값이 뛰자 범정부 차원에서 여러 기준을 적용해 들여다봤지만 정확히 결론 내리기가 쉽지 않았다”며 현실적인 어려움을 토로했다. 현재 학계에서 적정 집값을 말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소득대비주택가격비율(PIR)이다. PIR값은 국가 내지는 지역 평균 수준의 주택(109㎡)을 연평균 소득으로 환산한 수치로, 일반인이 집을 사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계산할 때 많이 쓰인다. 가령 PIR이 10으로 나왔다면 10년 동안 한 푼도 쓰지 않고 돈을 모아야 집을 구입할 수 있다는 뜻이다. PIR값은 선진국에서 주택구입 여력을 측정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세계은행..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