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경제를 보면 그야말로 사면초가라는 말이 딱 어울린다. 세계 경제 회복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가계부채 문제가 한국 경제의 뇌관으로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도 처음에는 부채담보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등을 예로 들며 가계부채가 우려할 만한 수준이 아니라는 입장이었지만 최근 들어서는 심각하게 여기는 모습이다. 물론 개인들로서도 내년은 힘겨운 행로가 예고돼 있다. 전문가들은 불황의 그림자가 깊어질수록 가계의 기초체력격인 빚부터 줄여나가야 한다고 말한다. 레버리지(지렛대) 효과를 위해 받은 은행 대출금이 개인과 가정 전체를 파탄으로 몰고갈 수 있어서다.

불황기에는 고정금리 갈아타야 ‘안심’

    

u보금자리론 · 환승론 · 이지론도 ‘관심’

- 늘어나는 빚 부담을 덜기 위해서는 변동에서 고정금리상품, 다양한 정책 대출 상품으로 갈아타야 한다.
- 늘어나는 빚 부담을 덜기 위해서는 변동에서 고정금리상품, 다양한 정책 대출 상품으로 갈아타야 한다.

최근 발표되는 정부기관, 민간 경제연구소들마다 내년도 우리 경제의 복병으로 거론하는 것이 있다면 가계부채 문제일 것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상반기 은행과 비은행권의 가계대출 잔액은 826조원을 기록했다. 지난해와 올 상반기를 포함한 국민총처분가능소득(1204조6000억원)에서 가계부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68.6%였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은 국민총소득(GNI)에서 해외로 송금한 금액을 뺀 지표로 실제로 국민이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을 의미한다. 정리하면 소득에서 대출이 차지하는 게 70%에 이른다는 말이다. 가계부채 심각성을 가늠할 수 있는 또 다른 지표인 가처분소득에서 차지하는 총부채 비중은 지난해 말 151.6%에서 올 10월 158.5%로 상승했다.



경제 주체 중 하나인 가계가 느끼는 빚 부담이 갈수록 커지는 모습이다. 지난 11월 한국은행, 통계청, 금융감독원이 공동 발표한 가계금융조사에 따르면 조사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