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 온통 ‘스마트(Smart)’ 물결이다. 여기서도 스마트, 저기서도 스마트다. 요즘 스마트란 말을 제대로 모르면 바보 취급받기 십상이다. 정말 바보가 되지 않으려면 도도한 ‘스마트 혁명’의 저변을 이해해야 한다. 전 세계적인 열풍을 일으킨 스마트폰이 스마트 담론의 일차적인 본산지이기는 하지만, 사실 스마트 혁명은 그것을 훨씬 초월하는 광범위한 영역에 걸친 이슈다. 스마트는 뭔가 그럴듯하다고 해서 아무데나 붙이는 수식어가 아니다. 원래 어떤 기계나 장치, 시스템 등이 ‘정보처리능력’을 가진 상태, 즉 지능화돼(Intelligent) 있는 것을 뜻하는 전문용어다. 스마트폰 역시 사실상 컴퓨터에 준하는 기능을 가진 휴대전화이기에 스마트라는 호칭을 쓰는 것이다. 지금 마치 요원의 불길처럼 지구촌에 번져가는 스마트 혁명은 지난 수십 년간의 눈부신 디지털·IT 기술 발달이 실질적인 원동력이다. 스마트 혁명의 여파는 엄청나다. 사람들의 라이프 스타일과 비즈니스 방식, 나아가 사회 시스템을 송두리째 바꿔놓을 수 있는 태풍의 눈이다. 한마디로 인류 문명의 스마트화를 가져올 수도 있을 전망이다. <이코노미플러스>는 창간기념호를 맞아 거대한 문명사적 변화에 불을 댕긴 ‘스마트 빅뱅’을 집중 조명해본다.
스마트 혁명, 세상을 어떻게 바꾸나

IT와 세상의 '결합' 신세계가 탄생하다



#1 지난 8월 미국인 빈스 헌터는 모처럼 시간을 내 코네티컷주에 사는 부모를 방문했다. 가족끼리 단란한 시간을 보내고 있던 차에 그의 아이폰에 ‘비상’을 알리는 메시지가 떴다. 자신의 집 앞에서 남자 두 명이 수상한 행동을 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그는 즉시 자기 집에 설치된 CCTV 화면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켰다. 그랬더니 정말 2인조 도둑이 벽돌을 던져 창문을 부수는 장면이 고스란히 뜨는 게 아닌가. 빈스 헌터는 서둘러 경찰에 신고했고, 경찰은 그의 집으로 달려갔다. 도둑들은 낌새를 채고 달아났다. 창문이 깨진 것 외에는 별다른 손해가 없었다.

빈스 헌터는 가슴을 쓸어 내렸다. 스마트폰이란 게 참 기특하고 고마웠다. 자신의 집은 부모 집에서 무려 2400km 떨어진 텍사스주 댈러스에 있다. 그 먼 곳에서 벌어질 뻔한 불상사를 스마트폰 덕분에 막을 수 있었던 것이다. 스마트폰과 애플리케이션, CCTV를 연계한 ‘스마트 방범’ 체계를 갖춰놓은 것은 아주 잘한 선택이었다.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