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오프라인 유통시장은 사실상 한계에 다다랐다. 백화점, 대형마트, 모두 외형은 커졌지만 성장률이나 수익성은 예전만 못하다. 롯데, 신세계가 해외시장 공략에 나선 것은 이렇듯 성장이 한계에 다다른 국내에서 벗어나 새로운 수익원을 찾자는 차원에서 출발했다. 하지만 현재까지 성적은 기대에 크게 못 미친다는 게 관련업계의 공통된 분석이다.

해외시장, 격전지 어디?

신세계 중국사업 재조정 

롯데는 ‘GO GO’…

베트남서 2라운드 준비 중

수익성 ‘글쎄’

신세계는 지난해 말 이마트 중국본부장으로 중국까르푸, 중국테스코에서 근무한 대만인 제임스 로를 임명했다. 아울러 문성욱 신세계 I&C 부사장에게 해외사업의 전권을 맡겼다. 문 부사장은 정유경 신세계 부사장의 남편으로 정용진 부회장과는 처남 매제 사이다. 이것은 두 가지 측면에서 바라봐야 한다. 그동안 중국 시장은 신세계가 가장 공을 들인 역점사업이다. 지난 1997년 처음 상하이에 1호점을 오픈한 이마트는 당초 2012년까지 매년 500억원씩을 투자해 중국 내 점포를 50~60개로 확대시킬 계획이었다. 이 같은 과감한 투자 배경에는 그만큼 중국시장을 놓칠 수 없다는 경영진의 강력한 의지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신세계의 대중국 공략은 기대만큼 결실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정용진 부회장 등 그룹 수뇌부가 총출동해 지난 2008년 4월 상하이에 문을 연 차오안점을 실적 부진의 이유로 폐점한 것은 대중국 시장의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