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지구촌에서 가장 역동적인 주체는 기업들이다. 선진국과 신흥시장의 대표적인 기업들은 비즈니스 기회를 찾아 세계 구석구석을 누빈다. 그들뿐이 아니다. 이미 세계 각국의 수많은 기업들이 글로벌 환경에서 경영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글로벌화한 기업들은 드넓은 해외시장을 무대로 활동할 뿐 아니라, 경영원칙도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게 구축해 나가고 있다. 그렇다면 기업들의 글로벌화는 어떤 기준으로 평가될 수 있을까? 해외 매출, 해외 법인 수, 외국인 임직원 비율 등 여러 가지 항목이 글로벌화의 척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사람, 즉 인적자원(human resource)이다. 특히 기업활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이해관계자들(stakeholders)의 글로벌화는 곧 기업의 글로벌화 수준을 가늠하는 매우 중요한 잣대가 될 수 있다. 호암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는 “기업은 사람이다”라고 말한 바 있다. 기업은 결국 사람이 만들어간다는 진리를 나타낸 말이다. 기업의 주요 이해관계자들은 경영진을 비롯해 주주, 종업원, 고객, 지역사회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된다. 그 중 가장 영향력이 큰 이해관계자는 CEO를 비롯한 경영진과 주주라고 할 수 있다. 경영진은 경영전략을 수립할 뿐 아니라 최종 의사결정권자라는 점에서, 또한 주주는 기업의 활동과 성과에 자신의 이익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매우 민감한 주체라는 점에서 두 이해관계자 집단은 기업의 정체성과 실적, 비전 등의 향배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인적 변수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 착안, <이코노미플러스>와 서울대 국제경영연구센터는 국내 10대 산업의 매출 기준 상위 20대 기업을 추려(전체 200개 기업) 최고경영진(top management team)과 주주(shareholder) 구성의 글로벌화를 국내 최초로 조사했다. 이른바 ‘최고경영진·주주 글로벌 인덱스(global index)’다. 최고경영진과 주주 구성의 글로벌화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국내 대표 기업들의 글로벌화 수준을 간접 추정할 수 있다는 취지다. 물론 최고경영진과 주주 구성의 글로벌화 정도가 기업 글로벌화 수준과 정비례한다고 단정 짓는 것은 곤란하다. 다만 기업 글로벌화 수준을 가늠하는 매우 의미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는 분명 주목할 만하다.
국내 최초 ‘인적자원’ 글로벌화 조사 의미

CEO·임원·주주를 보면

‘글로벌 역량’이 보인다

마이크로소프트, 월마트, IBM, 코카콜라, 네슬레, 도요타…. 이런 외국 기업들을 우리는 흔히 ‘글로벌 기업’이라고 부른다. 세계 전역을 시장으로 삼아 활동하면서 지구촌 사람들 뇌리에 자신의 브랜드를 뚜렷하게 각인시킨 기업들이다. 한국에도 숫자는 적지만 글로벌 기업이 있다. 대표적인 예가 삼성전자다. 현대자동차, LG전자, 포스코 등도 빼놓을 수 없다. 특히 2000년대 들어 한국 기업들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스스로 글로벌 기업이라고 칭하는 사례도 부쩍 많아졌다. 그런데 우리가 무심코 혹은 자의적으로 사용하는 글로벌 기업이라는 표현은 다소 모호한 개념이다. 도대체 무엇이 글로벌하다는 말인가? 또 어떤 요소를 갖춰야 진짜 글로벌 기업이라고 할 수 있을까? 

예전부터 기업 글로벌화를 논할 때는 흔히 해외매출 비중, 해외법인 숫자, 외국인 종업원 비율 등을 근거로 들었다. 사실 그런 지표들이 글로벌화의 계량적 잣대로 쓰이는 데 대해서는 별다른 이견도 없다. 하지만 세상은 늘..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