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농업 전문가들은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농업에 접목한 ‘스마트팜’이 한국 농업에 기회가 될 것이라고 했다. 사진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스마트팜 솔루션 융합연구단의 토마토 농장. 사진 KIST
국내 농업 전문가들은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농업에 접목한 ‘스마트팜’이 한국 농업에 기회가 될 것이라고 했다. 사진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스마트팜 솔루션 융합연구단의 토마토 농장. 사진 KIST

최근 3년간 글로벌 농업 시장의 지형도가 급변했다. 종자 시장과 작물보호제 시장에서 주도권을 쥐려는 글로벌 농화학 기업들의 인수·합병 과정이 치열하게 진행됐다. 농업 선진국과 후발 국가에서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드론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농업에 접목하려는 스마트 농업에 대한 시도도 활발하게 이뤄졌다.

세계 농업(종자·작물보호제·스마트팜 등) 시장에서 한국의 위치는 어디일까. 성적표는 초라하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농업은 경쟁력을 잃은 지 오래”라고 입을 모았다. 도시 근로자 소득 대비 농가 소득은 1990년 97.4%에서 2016년 64.1%로 낮아졌다. 같은 기간 농업 인구는 600만 명에서 252만 명으로 줄었다. 많은 사람이 농업에서 희망을 찾지 못하고 농촌을 떠나고 있다는 얘기다.

성장 가능성을 보고 농업에 활발하게 투자하고 있는 선진국과 달리 투자도 적다. 2016년 농림수산식품 분야 재정 규모는 19조4000억원으로 정부 총지출의 5% 수준이다. 총지출 대비 농림수산식품 분야 재정 규모는 2005년 6.8%로 정점을 찍은 이후 계속 줄어들고 있다.

‘농업의 반도체’로 불리는 종자 산업에선 어떨까. 세계 종자 시장 규모..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