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동대문시장의 의류 산업 자원과 한국의 뛰어난 정보기술(IT)을 잘 활용하면 국내 섬유·의류 업체의 활로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 조선일보 DB
전문가들은 “동대문시장의 의류 산업 자원과 한국의 뛰어난 정보기술(IT)을 잘 활용하면 국내 섬유·의류 업체의 활로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 조선일보 DB

한때 국내 수출의 일등공신이었던 섬유산업이 ‘사양산업의 대명사’로 추락한 가운데 섬유업체들이 앞다퉈 해외로 빠져나가고 있다. 최저임금 인상, 고질적인 인력난 등으로 경영 환경이 악화되자 베트남, 방글라데시 등 저임금 인력이 풍부한 나라로 눈을 돌리는 것이다. 섬유업체와 종사자 수가 지속적으로 줄어들면서 국내 섬유산업의 활력은 크게 떨어진 상태다. 국내 섬유산업이 되살아날 희망은 없는 걸까.

전문가들은 아직 희망의 끈을 놓기엔 이르다고 입을 모은다. 2006년 이후 계속 상승세를 타던 국내 섬유산업 생산액은 2011년 47조원을 돌파했다. 하지만 이후 중국 등 후발국과의 경쟁 심화, 수출 감소 등으로 2016년 생산액이 40조원으로 줄어들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아직 섬유산업에 회생의 기회가 남아있다고 말한다.

이임자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인구 증가와 베트남·인도를 비롯한 신흥시장 성장에 따라 세계 섬유 시장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며 “한국은 전통적인 섬유 소재 기술력과 섬유산업 인프라 등 미래 섬유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데 필요한 자원을 충분히 갖고 있는 만큼 지금부터 장기적인 전략을 수립해 준비한다면 경쟁력을 회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