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 로섬의 만능 로봇(R.U.R.·1920) (우) 은하철도 999(1977)
(좌) 로섬의 만능 로봇(R.U.R.·1920) (우) 은하철도 999(1977)
선정우 출판기획사 코믹팝 대표, 번역자, 만화칼럼니스트
선정우
출판기획사 코믹팝 대표, 번역자, 만화칼럼니스트

SF 작품은 현실 사회와 ‘상상력’을 주고받는다. 미래를 그린 SF 작품이지만 사실 현실의 비유로 작용하거나, 현실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 영화 ‘알리타: 배틀 엔젤’을 필두로 해 인공지능(AI), 로봇, 사이보그, 안드로이드 등 인간과 유사하거나 인간의 단계별 확장 형태와 관련된 ‘자아’ 문제에 관한 ‘상상력’이 주목받는다.

인간에게 무엇이 ‘나’이고, 무엇이 ‘내가 아닌 존재’인지는 고전적인 주제다. 종교는 인간이 창조주의 모습을 본떠 만들어졌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인간은 ‘인간과 닮은 존재’를 만드는데, 이는 그리스 신화에도 여럿 등장한다. 일례로 한 조각가가 이상적인 여성을 조각상으로 만든다는 내용의 피그말리온 설화가 있다. 또 로봇처럼 인간이 만든 존재가 자신의 존재 이유에 대해 고민한다거나 심지어 인간을 상대로 반란이나 혁명을 일으킨다는 테마는 SF에서 오래전부터 반복돼 왔다.

‘로봇’이란 단어를 처음 만들었던 체코의 SF 작가 카렐 차페크의 희곡 ‘로섬의 만능 로봇(R.U.R.·Rossum’s Universal Robots)’은 ‘로봇이 대체하는 노동’이란 테마를 다뤘다. 영화 산업 초창기 제작된 독일 영화 ‘메트로폴리스’는 후대..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