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주 서울대 인류학 박사, 하버드대·서섹스대· 마스트리히트대 방문연구원 / 사진 김소희 기자
이태주
서울대 인류학 박사, 하버드대·서섹스대· 마스트리히트대 방문연구원 / 사진 김소희 기자

“한국은 공적개발원조(ODA) 분야에서 30년의 경력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ODA 전략조차 세우지 못하고 있어서 성과가 눈에 띄지 않아요.”

이태주 한성대 문화인류학과 교수는 11월 19일 ‘이코노미조선’과 인터뷰에서 한국 ODA 현황을 이렇게 진단했다. 그의 경력을 설명하려면 88서울올림픽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이 교수는 국내 최초 해외 봉사단에서 지도 교수를 담당했다. 청와대 내부에서 ‘한국도 선진국 반열에 올랐으니 마땅한 책무를 다하자’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1989년 만든 봉사단이었다.

1991년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신설되면서 해외 봉사단도 이곳에 편입됐다. 일본의 ODA 전담 기구인 일본국제협력기구(JICA)의 법령과 규정을 일일이 번역해서 직제를 따라 만들던 KOICA의 태동기였다. 그렇게 10년 넘게 KOICA의 창단 멤버로 일하다가 2002년 학계로 복귀했다.

한 발짝 떨어져서 보니 나무가 아닌 숲이 보이기 시작했다. 한국의 ODA 전략이 무엇인지 가늠하기 어려웠고 수백 개의 자잘한 사업은 연관성이 없어 보였다. ‘이 돈이 다 국민 세금인데…’, 당시엔 해외 현장에서 개발 협력 자금이 ‘밑 빠진 독에 물..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