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은 2020년 상용화를 목표로 공공 도로에서 자율주행차를 시험 중이다. 지붕 위에 레이저 광선을 사용해 외부 환경을 인식하는 센서 ‘라이다’가 장착돼 있다. <사진 : 구글>
구글은 2020년 상용화를 목표로 공공 도로에서 자율주행차를 시험 중이다. 지붕 위에 레이저 광선을 사용해 외부 환경을 인식하는 센서 ‘라이다’가 장착돼 있다. <사진 : 구글>

교통사고의 대부분은 운전자 부주의로 발생한다. 하지만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을 활용하면 교통사고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충돌이나 사고가 발생할 상황을 미리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ADAS는 차량 내 카메라와 센서를 통해 사람과 차량, 장애물 등을 미리 식별하고 브레이크, 핸들 조향장치를 활용해 사고를 방지한다. 카메라와 센서를 통해 머리와 다리가 동시에 감별되면 사람으로 인식하고, 차량은 차체와 타이어·후미 등으로 식별한다.

현재 자율주행 구현 수준은 ‘제한적 자율주행’ 단계다. 주차장, 자동차전용도로 등 제한된 조건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하며, 돌발 상황 등 특정 상황에서는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하다. ADAS가 도로 위에서 발생하는 모든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현재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주변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센서 기술이 발전해야 한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앞다퉈 ADAS 장착에 나서면서 ADAS 시장은 급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BMW, 메르세데스-벤츠, 아우디, 폴크스바겐, 현대차 등 20개 자동차 회사는 2022년 9월부터 출시하는 모든 신차에 ADAS를 기본사양으로 장착하겠다고 밝혔다. 2020년 ADAS 기기 판매량이 1억80..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