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는 실리콘밸리처럼 대학·연구소·벤처의 산학 연구·개발(R&D) 시스템이 구축돼 있지 않다. 혁신을 주도하는 벤처기업이 아닌 대기업에 정부 R&D 자금이 집중되는 현실을 개선해야 한다. 우리의 문화와 산업여건에 맞는 ‘한국형 클러스터’ 정책을 고민할 시기다.”

남기범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산업클러스터학회 회장)는 판교테크노밸리가 지식 공유의 장(場)으로 거듭나야 ‘한국형 실리콘밸리’가 성공할 수 있다고 말한다. 실리콘밸리처럼 경쟁 기업과도 협력할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질 때 비로소 혁신이 촉발된다는 것이다. 남 교수는 판교에 이미 성장한 기업만 모여 있다면 클러스터가 제 기능을 할 수 없다면서 ‘창업→기술·신제품 개발→성장→투자금 회수’로 이어지는 창업 생태계가 판교에 뿌리를 내려야 한다고 했다. 남 교수를 지난 7일 서울 종로구 수송동에서 만나 인터뷰했다.

판교테크노밸리를 어떻게 평가하나.“한국형 실리콘밸리를 표방한 클러스터가 국내에 수십 곳인데, 판교가 가장 성공한 사례다. 최근 들어 판교테크노밸리 내 기업 간 교류가 늘고 있다. 바람직한 현상이다. 하지만 판교테크노밸리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신규 창업이 전혀 없다. 다른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