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의 진원지였던 영국에서는 현재 300여 곳의 기관투자자들이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하고 있으며, 기관 간 공동 의결권 행사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사진 : 블룸버그>
글로벌 금융위기의 진원지였던 영국에서는 현재 300여 곳의 기관투자자들이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하고 있으며, 기관 간 공동 의결권 행사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사진 : 블룸버그>

“글로벌 금융위기의 원인이 된 금융회사의 부실을 막으려면 기관투자자를 비롯한 주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듬해인 2009년 모건스탠리 전 회장이자 고문이었던 데이비드 워커는 영국 금융회사의 문제점을 진단한 ‘워커 보고서’에서 이렇게 분석했다.

워커는 은행과 금융회사가 리스크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데서 금융위기가 출발했다고 진단하며, 이를 재현하지 않으려면 기관투자자들의 방관주의를 뜯어고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영국 기관투자자협의체인 ISC는 이 보고서를 기반으로 ‘기관투자자 책임 규범’을 만들었다. 자율 규범이다 보니 기관투자자들의 참여가 별로 없었다. 정부가 나섰다. 2010년 영국 재무보고위원회(FRC)는 이 규범을 ‘영국 스튜어드십 코드’로 정식 도입했다. FRC는 기업 지배구조를 강화하고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독립적인 규제 기관으로, 준공공기관으로 분류된다.

영국 금융감독 당국인 금융감독청(FCA)은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을 강요하지는 않았지만 도입하지 않는 기관투자자에게 투자 전략을 공개하라며 참여를 유도했다. 현재 300여 곳의 기관투자자들이 영국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했다.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