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정권은 ‘1억 총활약 플랜’을 내세워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를 적극 장려하고 있지만 일본형 고용·전근 제도 등이 맞벌이 부부의 목을 죄고 있다. 사진 블룸버그
아베 정권은 ‘1억 총활약 플랜’을 내세워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를 적극 장려하고 있지만 일본형 고용·전근 제도 등이 맞벌이 부부의 목을 죄고 있다. 사진 블룸버그

“아이를 양육하는 것은 엄마의 일입니다. ‘남녀평등 사회’라든지 ‘아빠 육아’라든지 폼나는 말들을 많이들 하지만 아이한테 있어서는 민폐죠.”

5월 27일 일본에서 한 국회의원의 망언이 나라를 들썩이게 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측근 하기우다 고이치(萩生田光一) 자민당 간사장 대리의 발언은 외신을 통해 그대로 해외로 퍼져나갔다. 워싱턴포스트(WP)는 “남성들의 육아 참여가 저조한 일본 사회의 단면을 그대로 보여준 말”이라고 전했다.

일본의 맞벌이 가구 수는 인력난에 따른 정부의 여성 취업 권장책에 힘입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일본 내각부에 따르면 1998년을 기점으로 맞벌이 가구(949만 세대)가 외벌이 가구 수(921만 세대)를 뛰어넘었고, 지금까지 이런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2017년 기준 이 격차는 더 벌어져 맞벌이 가구 수는 1188만 세대, 외벌이 가구 수는 641만 세대를 기록했다.

하지만 기업 문화나 사회적 인식은 여전히 과거에 머물고 있다. 전문가들은 특히 일본형 고용 관행을 맞벌이 가구의 발목을 잡는 요인으로 지목한다.

일본에서는 연공서열·종신고용·정년제로 압축되는 고용 제도가 뿌리 깊은 기업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