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월 25일 오후 서울 동작구 상도동 244번지 일대. 성인 여성이 두 팔을 양쪽으로 쫙 벌리면 길목 전체를 거뜬히 막아설 수 있을 만큼 좁은 비탈길이 거미줄처럼 온 동네에 퍼져 있었다. 골목을 따라 2~3층 높이의 저층 주택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었는데, 모두 지어진 지 수십 년은 돼 보였다. 이제는 서울 도심에서 찾아보기 힘든, 도둑 방지용 쇠꼬챙이가 녹슨 몸으로 담벼락을 힘겹게 붙잡고 있었다. 244번지 근처에 위치한 A부동산 관계자는 “이 길에 있는 집들은 그래도 양호한 편”이라며 “근처 상도초등학교 앞쪽엔 도시가스가 안 들어올 정도로 쓰러지기 직전인 집들이 널렸다”고 말했다.
이곳은 서울시 산하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지난해 10월 ‘서울형 자율주택정비사업’ 대상지로 선정한 곳이다. 도서관, 어린이집 등 편의시설을 아파트단지 수준으로 도보 10분 거리에 조성하고, 주택도 새로 짓기로 했다. 그러나 새로 공급되는 주택은 단 40가구. 사업 대상지가 상도동 244번지가 위치한 상도4동(75만㎡)의 0.002%인 1351㎡(약 408평) 규모에 불과한 탓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주민들은 사업 효과에 반신반의하는 모양새다. 상도동에서 약 10년간..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