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성민 고려대 생명공학과, 서울대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화장품 수출 전문위원 사진 채승우 객원기자
손성민
고려대 생명공학과, 서울대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화장품 수출 전문위원 사진 채승우 객원기자

2014년은 미국이 일본을 제치고 한국의 3대 화장품 수출국이 된 해였다. 2003년 아모레퍼시픽그룹의 주력 화장품 브랜드 ‘아모레퍼시픽’이 미국 뉴욕의 최고급 백화점인 ‘버그도프굿맨’에 입점한 이래 11년 만에 처음으로 이익(매출 349억원)을 낸 해이기도 했다. 당시 주요 언론과 화장품 업계는 “이제 케이뷰티(K-뷰티)가 아시아를 넘어 미국에도 뿌리내리기 시작했다”며 환호했다.

2018년, 그로부터 4년이 지난 지금 성적표는 어떨까. 10월 말 발표된 아모레퍼시픽의 3분기 실적을 보면 해외 사업 매출은 4472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4.7%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262억원으로 42%나 감소했다.

과거부터 문제점으로 지적된 중국 시장 의존도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아모레퍼시픽의 3분기 해외 사업 매출의 94%는 중국과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나왔다. 미국과 유럽이 차지하는 비율은 6% 미만으로 여전히 미미하다. 게다가 화장품 업계가 장밋빛 시장이라 생각했던 중국 시장도 더 이상 만만하지 않다. 악화 일로의 아모레퍼시픽엔 지금 돌파구가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국내 화장품 1위 기업인 아모레퍼시픽이 재도약하기 위해선 기존 (프리미엄) 전략의 전폭..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