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태희 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과, 카이스트 공학박사, 삼성전자 통신연구소 책임연구원, 한국산업기술대 전자공학과 조교수 / 2월 11일 경기도 수원 성균관대 연구실에서 한태희 반도체시스템공학과 교수가 ‘이코노미조선’과 인터뷰하고 있다. 사진 김흥구 객원기자
한태희
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과, 카이스트 공학박사, 삼성전자 통신연구소 책임연구원, 한국산업기술대 전자공학과 조교수 / 2월 11일 경기도 수원 성균관대 연구실에서 한태희 반도체시스템공학과 교수가 ‘이코노미조선’과 인터뷰하고 있다. 사진 김흥구 객원기자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를 강화해야 하는 것은 삼성전자의 숙명과도 같다.”

2월 11일 경기도 수원 연구실에서 만난 한태희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 교수는 “메모리 분야에서 이미 세계 시장의 40%를 차지한 삼성이 아직 제대로 공략조차 못 하고 있는 비메모리 분야를 노리는 것은 당연한 순서”라고 했다.

비메모리 반도체는 데이터를 연산 처리하는 반도체를 말한다. 단순히 데이터를 기억하고 저장하는 메모리 반도체(D램·낸드플래시)와 구분된다. 비메모리 반도체로는 PC의 중앙처리장치(CPU)나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등이 있다.

비메모리와 메모리 반도체의 세계 시장 비율은 7 대 3 정도로 비메모리 규모가 훨씬 크다.

그러나 비메모리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채 3%도 되지 않는다. 반면 인텔·퀄컴 등 미국 회사가 시장의 63%를 차지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메모리 시장을 장악하고는 있지만, 비메모리 시장의 경쟁력을 강화하지 않으면 반도체 사업 확대에 한계가 있는 셈이다. 삼성전자는 최근 “2030년까지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도 세계 1위가 되겠다”고 밝혔다.

한 교수는 삼성전자가 비메모리 반도체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스..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