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기현 성균관대 공학박사, 현대전자 (현 SK하이닉스) 반도체연구소 연구원, 카이스트 나노종합기술원 연구원, 한국반도체연구조합 연구개발지원본부장 / 사진 정해용 기자
안기현
성균관대 공학박사, 현대전자 (현 SK하이닉스) 반도체연구소 연구원, 카이스트 나노종합기술원 연구원, 한국반도체연구조합 연구개발지원본부장 / 사진 정해용 기자

국내 기업들이 반도체 산업에 주력한 것은 1970년대부터다. 당시 반도체 분야 세계 최강이었던 일본 기업들과 경쟁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었지만 1983년에는 메모리 반도체(데이터를 기억·저장하는 반도체)인 64K D램(8000자 정도의 정보를 담을 수 있는 메모리 반도체)을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개발하면서 메모리 반도체 강국의 반열에 올랐다. 현재는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60%(삼성전자 40%, SK하이닉스 20%)를 국내 기업들이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데이터를 받아들여 연산처리하고 판단하는 비메모리 반도체의 경우에는 세계 시장 점유율이 3.4%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

1990년대 초반부터 현대전자와 LG반도체(현재 두 회사 모두 SK하이닉스에 합병), 삼성전자 등 국내 굴지의 기업들이 연구소를 만들어 비메모리 반도체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해왔지만 30년이 지난 지금도 초라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셈이다.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국내 기업들이 맥을 못 추는 이유는 무엇일까. 2월 12일 경기도 판교 사무실에서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무를 만나 비메모리 반도체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조건을 들어봤다.

안 상무는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