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아이치현의 도요타 공장에서 직원들이 프리우스 하이브리드 차량을 조립하고 있다. 사진 블룸버그
일본 아이치현의 도요타 공장에서 직원들이 프리우스 하이브리드 차량을 조립하고 있다. 사진 블룸버그

자동차 산업의 역사는 ‘복잡성’과의 치열한 전쟁을 담은 기록이기도 하다. 잊을 만하면 불거지는 ‘대규모 리콜’은 부끄러움의 기록인 동시에 영광의 상처다.

리콜은 이미 출시한 제품에 결함이 있거나 결함의 소지가 발견될 경우 이를 무상으로 수리하거나 교환해 주는 제도다. 자동차 업계의 전유물은 아니지만, 비율이 높은 건 부인할 수 없다. 미국 로펌 해리스로리맨튼이 지난해 선정한 ‘미국 10대 리콜’ 순위를 보면,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관련 리콜이 절반을 차지한다.

포드의 파이어스톤 타이어 리콜(2000)이 2위였고, 도요타의 1000만 대 리콜 사태(2010)와 GM의 점화 스위치 결함으로 인한 대규모 리콜(2014)이 각각 6위와 7위를 차지했다. 자동차 관련 리콜이 잦은 것은 무엇보다 사용되는 부품이 많기 때문이다. 부품 수가 2만~3만 개에 달하다 보니 멀쩡한 부품 간 조합에서 예상치 못한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첨단 전자장비 접목이 늘고 있는 것과 주요 업체들이 현지화의 일환으로 세계 각국에 생산 기지를 두고 있는 것도 복잡성을 키우는 요인이다.

리콜이 부끄러움의 기록인 것은 예기치 못한 ‘결함’이 원인이기 때문이다. 설계 과정에서 발생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