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덕열 청주고, 고려대 경제학과, 행정고시 43회, 산업통상자원부 원자력산업과, 장관실, 주UAE 대사관, 창조행정담당관, 무역진흥과장, 통상협력국 동북아통상과장
박덕열
청주고, 고려대 경제학과, 행정고시 43회, 산업통상자원부 원자력산업과, 장관실, 주UAE 대사관, 창조행정담당관, 무역진흥과장, 통상협력국 동북아통상과장

1970년대 한국 경제의 질적 고도화를 위해 추진된 중화학공업 육성정책과 함께 경남 창원에는 기계 산업 기지가 조성됐다. 1978년 대우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주요 대기업들이 입주하면서 창원 국가산업단지는 2014년 기준 전국 기계 산업 생산의 26%를 담당하는 등 한국 기계공업의 요람이 됐다. 그리고 창원을 위시한 동남권 산업벨트의 성장은 지역경제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국토의 균형발전에도 기여했다.

하지만 최근 중국 등 신흥국의 추격과 미·중 무역전쟁 등의 영향으로 한국 제조업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문제는 제조업 부진의 여파가 제조업 밀집 지역의 경제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2016년 조선업 업황 악화로 인해 창원 진해구 등 조선업 밀집 지역이 겪은 지역경제 침체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해 한국 조선업은 수주액 370억달러(약 43조5000억원)를 기록해 근 10년간 경험해보지 못한 최악의 성적표를 기록하고, 그 여파로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STX조선해양 등 주요 기업들은 생산을 중단하거나 구조조정을 실시했다.

이러한 산업 위기의 영향은 종사자의 고용 불안정과 주변 상권의 침체로 확산됐다. 2015년 대비 2017년 군산의 휴·..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