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7월 3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하를 결정한 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 블룸버그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7월 3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하를 결정한 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 블룸버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요 선진국들이 양적 완화에 마이너스 금리 정책까지 펼 수 있는 이유는 저물가 현상이 보편화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거의 사라졌기 때문이다. 2000년대 초반, 미국이 기준금리를 6%대에서 1.0%까지 인하할 수 있었던 것도 물가가 낮았기 때문에 가능했다.

물가가 낮았던 원인은 두 시기가 다르다. 2000년대 초반에는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을 통해 국제 무역 시장에 편입되면서 값싼 중국 상품이 쏟아져 물가 상승을 억제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경기 침체 상황이 지속하면서 투자와 소비가 살아나지 않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각국 중앙은행이 ‘물가 안정’을 위해 무절제한 통화 완화 정책을 자제했는데, 이제는 저물가 현상이 지속되면서 ‘물가’가 더 이상 경기 부양을 위한 과감한 통화 완화 정책에 걸림돌이 되지 않는 상황이다.

닷컴 버블 붕괴 이후 경기 부양 필요성…‘중국 효과’로 저물가

1990년대 후반 인터넷이 보편화하면서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성장했다. 미국 나스닥 시장을 필두로 각국에 상장 회사나 벤처기업들을 거래하는 주식시장이 생겨났다. 매출이나 순익이 변변치 않더라도..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