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저금리 환경 뒤에는 경기 둔화 우려가 깔려 있다. 전문가들은 배당 수익을 추구하는 배당주와 부동산 간접투자 상품인 리츠(REITs), 실적 대비 저평가주 등을 우선 고려하라고 했다.
지금의 저금리 환경 뒤에는 경기 둔화 우려가 깔려 있다. 전문가들은 배당 수익을 추구하는 배당주와 부동산 간접투자 상품인 리츠(REITs), 실적 대비 저평가주 등을 우선 고려하라고 했다.

증시 참여자들에게 요즘 같은 시장 분위기는 달갑지 않다. 위축된 투자심리만큼 짙어진 관망세로 주식 거래량 자체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약 11조5000억원이던 하루 평균 거래대금(코스피+코스닥)은 현재 8조원대로 주저앉았다. 이유는 간단하다. 지수가 오를 기미를 보이지 않아서다. 지난해 2041.04에 마무리했던 코스피지수는 8월 30일 종가 기준 1967.79로 되레 뒷걸음질 친 상태다. 같은 기간 코스닥지수도 675.65에서 610.55로 9.64% 후퇴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평소라면 A가 내놓은 주식을 넙죽 받아 갔을 B가 “일단 좀 지켜보자”며 한발 물러서는 수급 불균형이 자주 발생한다. 수급이 불안하면 증시는 작은 이슈에도 요동친다. 겁먹은 투자자는 더 방어적으로 움츠러든다. 각국의 금리 인하 조치도 약발이 안 든는다. 이쯤 되면 우리는 선택을 해야 한다. ‘쉬는 것도 투자’라는 오랜 증시 격언을 따르거나 “최적의 매수 타이밍은 시장에 피가 낭자할 때”라는 영국 투자가 존 템플턴의 말을 떠올리며 용기를 내거나.

어느 쪽을 선택하든 당분간은 방어적인 태도를 유지하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조언이다. 지금의 저금리..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