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민간단체 ‘주문을 잘 못 알아듣는 식당’은 치매 환자도 보통 생활을 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자는 취지에서 치매 환자가 식당에서 종업원으로 일하는 행사를 부정기적으로 연다. 일본 정부 역시 치매 환자와 ‘공생’하는 데 방점을 둔 다양한 치매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사진 ‘주문을 잘 못 알아듣는 식당’ 홈페이지
일본 민간단체 ‘주문을 잘 못 알아듣는 식당’은 치매 환자도 보통 생활을 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자는 취지에서 치매 환자가 식당에서 종업원으로 일하는 행사를 부정기적으로 연다. 일본 정부 역시 치매 환자와 ‘공생’하는 데 방점을 둔 다양한 치매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사진 ‘주문을 잘 못 알아듣는 식당’ 홈페이지

많은 국가가 치매 정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 차원의 치매 정책 수립을 위해 노력한다. 특히, 미국·영국·독일·프랑스·일본·이탈리아·캐나다 등 주요 7개국(G7)은 치매 정책 선진국으로 꼽히며 다른 국가들이 치매 정책을 수립할 때 참고한다. 이들 국가는 ‘치매 수뇌회담(Dementia Summit)’을 통해 정보 교류 및 협력을 강화하고, 치매 정책을 발전시키고 있다. G7 국가 중 미국·일본·프랑스의 치매 정책을 살펴봤다.

미국은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2011년에 승인한 ‘국가 알츠하이머 프로젝트 법(NAPA)’에 기반해 2012년 ‘알츠하이머 관리를 위한 국가 계획(2012~2015년)’을 수립했다. 이 계획에 투입한 예산은 총 1억5600만달러(약 1800억원)에 이른다. NAPA 제정으로 미국의 모든 주가 이 계획을 추진하도록 하는 법률적 근거가 마련됐다.

특히 미국은 알츠하이머 연구 활성화를 위해 제도·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알츠하이머 환자와 가족의 임상시험 참여를 독려하고 소수 인종의 알츠하이머 연구도 장려했다. 2014년 12월에 ‘알츠하이머 책임법’이 제정되면서 알츠하이머 연구를 위한 예산 투입의 법적 기반을 마련했다.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