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공헌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 과거 기업 사회공헌은 비영리기관(NPO)이나 정부기관 기부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사회적 가치와 수익을 동시에 추구하는 사회적 경제가 중요해지면서 사회공헌이 핵심 주제로 떠올랐다. 기업이 직접 사업을 진행하면서 NPO, 공공기관, 미디어 등 여러 주체를 모아 사회적 문제 해결 모델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국내에선 기업과 정부가 협력하는 모델이 많다. 기업이 정부의 행정력을 활용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독거 노인에게 음성인식 인공지능(AI) 스피커, 스마트 스위치 같은 스마트 기기를 보급하는 SK텔레콤의 ‘행복커뮤니티 ICT돌봄서비스’가 대표적이다. 지난해 사회연대경제 지방정부협의회와 양해각서를 체결해 사업에 속도를 냈다. 8개의 시청, 구청과 협력해서 대상 가구를 파악하고 2019년 5월 중순까지 총 2100명에게 스마트 기기를 보급했다.

기업이 정부에 사업 참여를 설득하기도 한다. 정부가 기업에 ‘손목 비틀기’ 식으로 사업 예산을 받아내던 사회공헌의 방식이 바뀐 것이다. 포스코의 경우 광양시와 함께 보건복지부에 아동 보호 쉼터 건립을 제안했다. 전라남도 지역에 남녀 아동보호시설이 순천과 해남으로 양분..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