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이 2013년부터 시작한 ‘실버택배’. 국제연합(UN)은 실버택배가 노인 일자리 문제를 개선한 공로를 인정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니셔티브 2019’ 우수 사례로 선정했다. 사진 CJ대한통운
CJ대한통운이 2013년부터 시작한 ‘실버택배’. 국제연합(UN)은 실버택배가 노인 일자리 문제를 개선한 공로를 인정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니셔티브 2019’ 우수 사례로 선정했다. 사진 CJ대한통운

바야흐로 ‘착한 기업’이 살아남는 시대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소비자 대부분은 제품 가격과 질을 상품과 서비스 선택의 기준으로 삼았다. 하지만 2019년을 살아가는 소비자는 기업윤리까지 따져본다.

소비자들이 매일유업에 대한 신뢰도를 보여주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매일유업은 창업주 김복용 회장의 뜻에 따라 대사질환을 앓는 아이들을 위한 특수 분유를 20년 넘게 만들고 있다. 한국에서 400명 남짓한 아이들이 먹는 분유를 만들기 위해 1년에 두 번, 하루 6만5000캔의 분유를 생산하는 공장을 세운다는 이야기는 소비자의 충성심을 높였다. 한 네티즌이 “감동해서 가격 차이가 있더라도 매일유업 제품을 산다”라는 글을 남기자 공감을 표하는 이들이 줄을 이었다.

그렇다고 소비자가 기업의 일방적인 선행에 반응한다는 뜻은 아니다. 사람들은 매일유업처럼 전문성을 살려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경제·사회적 가치를 높일 때에야 비로소 환호한다. 소비자는 기업이 경영 활동을 통해 이익 창출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회가 발전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해주기를 기대한다. 연말연시에 사회복지시설 앞에 라면이나 연탄, 가전제품을 쌓아놓고 기업 임직원이 사진을 찍는 풍..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