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민한양대 정치학 학사, 미국 미주리대 정치학 석·박사, 일본방위청 방위연구소 연구원, 한국국제정치학회 이사, 국방기술품질원 이사 / 사진 채승우 객원기자
김경민
한양대 정치학 학사, 미국 미주리대 정치학 석·박사, 일본방위청 방위연구소 연구원, 한국국제정치학회 이사, 국방기술품질원 이사 / 사진 채승우 객원기자

여전히 많은 이에게 우주는 그저 신비로운 공간이다. 그래서일까. 우주 개발이 현실 과제에 밀려 정책적 추진 동력을 잃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된다. 국민 세금으로 나라 살림하는 정권 입장에서 우주 미션은 상대적으로 수정·취소가 쉬운 약속이다. 김경민 한양대 정치외교학 특별공훈교수는 매 정권의 이런 태도에 분노해 “우주 개발이 국가 생존의 필수 요건”이라고 주장해온 국방·안보 분야 권위자다. 우주 정책을 다루는 정부의 현명한 태도는 무엇일까. 1월 17일 오후 서울 잠실에서 김 교수를 만났다.

한국의 우주 개발 속도가 늦다고 보나.“늦다. 이런 건 상대적인 속도로 봐야 한다. 주변국을 봐라. 한국처럼 한가한 나라가 없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이웃 중국·일본과 비교해도 20년 이상 뒤처졌다. 우리 기술로 인공위성을 만들 수는 있는데, 그 위성을 태울 자체 로켓이 없다. 이게 현실이다.”

왜 이렇게 더딜까.“그간 이 문제 해결에 강력한 의지를 보인 국가 지도자가 없었다. 우주 개발은 해당 국가의 최고 지도자가 직접 챙겨야 하는 사업이다. 이 분야의 전통적 강호인 미국·러시아는 물론 최근 급부상한 중국도 지도자가 진두지휘했기에 우주 경쟁력을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