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5월 26일 오후 충북 영동 영동천 하상주차장에서 열린 영동군민의날 행사에 ‘미스트롯’ 우승자 송가인이 팬클럽 회원들의 환호를 받으며 축하공연을 하고 있다. 사진 조선일보 DB
2019년 5월 26일 오후 충북 영동 영동천 하상주차장에서 열린 영동군민의날 행사에 ‘미스트롯’ 우승자 송가인이 팬클럽 회원들의 환호를 받으며 축하공연을 하고 있다. 사진 조선일보 DB

트로트는 문화 트렌드를 넘어 거대한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트로트 톱가수의 몸값은 아이돌 수준으로 치솟았고, 이들은 거대한 팬덤(fandom·열성 팬) 문화를 만들며 막강한 소비 파워를 이끌고 있다. 공연 업계와 음원 서비스 업계, 광고 제작사 등은 트로트가 돈이 되는 시대가 열렸다며 트로트 스타에게 앞다퉈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트로트 시장 침체기였던 1990년대 트로트 가수들은 지역 행사나 밤무대를 전전하며 차비를 겨우 충당할 수 있는 수준의 행사비를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인지도가 낮은 가수는 이름을 한 번이라도 알리고 싶어 주최 측에 돈을 지불하면서까지 행사를 뛰었다. 이런 관행은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당시 상황은 더욱 열악했다.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초 장윤정, 박현빈, 홍진영 같은 톱스타가 등장하면서부터다. 대중 트로트가 ‘대박’을 쳤고 트로트가 다시 한국 가요의 한 장르로서 어깨를 펴기 시작했다. 행사비가 장윤정, 홍진영의 경우 회당 1500만원 정도, 박현빈도 1000만원 내외인 것으로 알려졌다. 소수의 톱스타가 독식하는 구조지만, 이들이 트로트계에 활력을 불어넣었다는 점은 무시하기 어렵다. 현재 트로트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