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바이러스 융합연구단에 참여하는 기관 중 한 곳인 한국파스퇴르연구소에서 연구원들이 코로나19 관련 연구를 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신종 바이러스 융합연구단에 참여하는 기관 중 한 곳인 한국파스퇴르연구소에서 연구원들이 코로나19 관련 연구를 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코로나 바이러스는 한 가닥으로 이뤄진 불안정한 RNA 바이러스인 까닭에 돌연변이를 쉽게 일으킨다.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모두 같은 코로나 바이러스를 기반으로 해도 인류를 위협하는 속도와 강도는 제각기 다른 이유다.

전 세계 과학자들은 이 변화무쌍한 코로나 바이러스를 개인의 힘으로 이겨낼 수 없다는 사실을 잘 안다. 이들은 각국의 연구 성과를 신속히 공유하고, 이를 활용한 후속 실험을 빠르게 추진하는 것만이 바이러스 정복의 꿈에 다가가는 유일한 길이라고 강조한다. 고도의 바이러스 분석 기술이 뒷받침돼야 하는 건 기본이다. 코로나19 위기의 돌파구를 마련하려는 과학계의 단합은 어떤 형태로 진행되고 있을까.

3월 4일 한국화학연구원으로부터 반가운 소식이 전해졌다. 이 연구원을 중심으로 뭉친 신종 바이러스 융합연구단이 코로나19 치료에 쓸 수 있는 항체들을 찾아냈다고 발표한 것이다. 연구단은 사스의 중화항체(바이러스의 독성을 없애주는 항체) 5종과 메르스의 중화항체 6종을 선정한 다음 이 항체들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과 결합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