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진 지금도 교육 현장에선 수포자가 속출하고 있다. 교육 방향이 지나치게 어려운 응용문제에 집중돼 있는 것이 원인으로 지적된다.
수학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진 지금도 교육 현장에선 수포자가 속출하고 있다. 교육 방향이 지나치게 어려운 응용문제에 집중돼 있는 것이 원인으로 지적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수학 경쟁력이 곧 국가 경쟁력으로 직결된다. ‘특출난 수학 천재를 얼마나 보유하고 있느냐’보다 ‘국민의 평균적인 수학 수준이 어느 정도인가’가 중요한 시대다. 과거에는 금융·공학·정보기술(IT) 등 일부 산업 종사자에게만 수학적 능력이 요구됐지만, 앞으로는 누구나 일정 수준의 수학적 소양을 갖춰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은 모든 산업을 인공지능(AI) 중심으로 재편하는데, 그 AI와 대화할 수 있는 유일한 ‘공용어’가 바로 수학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작 ‘수학 경쟁력 시대’를 살아갈 초·중·고등학생들 사이에서는 방정식과 함수에 보이콧을 선언한 ‘수학 포기자(수포자)’가 늘고 있다. 종로학원하늘교육의 분석에 따르면,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의 ‘수학 나형’ 과목에서 원점수 40점 이하(100점 만점)를 받은 응시생이 41.6%(13만9915명)에 달했다. 문과생 10명 중 4명이 ‘과락(과목낙제)’ 수준이라는 것이다.

‘이코노미조선’은 3월 17일 ‘나는 수포자다’라고 선언한 학생 4명을 인터뷰해 수학 교육의 현주소를 짚어봤다. 학생들은 공통적으로 “원래는 수학을 그렇게 싫어하지 않았는데, 학년이 올라갈수록 수학이..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