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1930년대 대공황 당시 실업자들의 모습과 2020년 3월 홍콩 중앙지구의 시민들의 모습. 코로나19 경제위기가 대공황과 같은 장기불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사진 블룸버그
왼쪽부터 1930년대 대공황 당시 실업자들의 모습과 2020년 3월 홍콩 중앙지구의 시민들의 모습. 코로나19 경제위기가 대공황과 같은 장기불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사진 블룸버그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경제 위기가 한 세기 이전의 ‘대공황(Great Depression)’보다 훨씬 더 가혹할 수 있다는 어두운 전망이 나온다. 대공황은 1929년부터 1939년까지 지속한 역사상 최악·최장의 경제 위기로, 제2차 세계대전을 촉발한 원인으로도 지목된다. 세계 경제가 마침내 아무도 경험해보지 못한 ‘미지의 영역’에 들어선 것이다. 급기야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가 ‘무제한 양적완화’를 시행하고 회사채까지 매입하겠다는 ‘벼랑 끝 대책’을 내놨지만, 불안감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이번 경제 위기는 코로나19로 인한 실물경제 마비가 금융시장으로 전이되는 복합 경제 위기다. 금융 시스템을 고치면 해결할 수 있었던 과거 금융위기와 달리, 코로나19 확산 우려로 경직된 수요는 바이러스 종식 전까진 어떤 방법으로도 부양하기 어렵다.

‘이코노미조선’은 사상 초유의 실물경제 위기를 맞아 해외 이코노미스트 5명에게 현 상황 진단과 대책 제시를 요청했다. 이들은 “코로나19가 빠르게 진압되면 세계 경제가 V 자 회복 곡선을 그리겠지만, 늦어지면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이라며 “지금 할 수 있는 최선의 조치는 태풍이..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