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기 침체 가능성은 100%에 가깝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경제보좌관을 지낸 케빈 해셋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인한 경기 침체를 단언했다. 그의 예측은 충격적이지만 새롭지는 않다. 이미 전 세계인이 코로나19로 인한 실물경제의 위축을 충분히 체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 공급망(supply chain)은 붕괴하고 있고 아시아에 이어 미국, 유럽 등지로 코로나19의 확산세가 계속되면서 소비 시장은 얼어붙었다. 이제 전 세계는 이 같은 실물경제의 충격이 금융시장의 붕괴로 이어질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각국 정부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넘어선 연쇄 통화·재정 정책을 쏟아내며 금융시장으로 튀고 있는 불씨를 잡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경제 전문가들은 우리가 전대미문의 실물·금융 복합 위기에 직면했다고 말한다. 지금 이 시점에 금융 시스템 붕괴를 막지 못한다면 세계 경제는 유례없는 장기 침체에 들어설 것이란 위기론이 팽배하다.

실물서 시작돼 금융시장으로 전이

코로나19 사태는 아시아 외환 시스템 문제로 빚어진 1990년대 말 외환위기와 미국 대형 금융기관의 부실로 촉발된 20..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