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코카콜라는 미 플라스틱 산업협회를 탈퇴하겠다는 뜻을 밝혔지만, 다보스 포럼에서 밝힌 페트병 생산 유지 방침으로 탈플라스틱 선언에 대한 진정성에 타격을 입었다.
지난해 코카콜라는 미 플라스틱 산업협회를 탈퇴하겠다는 뜻을 밝혔지만, 다보스 포럼에서 밝힌 페트병 생산 유지 방침으로 탈플라스틱 선언에 대한 진정성에 타격을 입었다.

개인 입장에서 ‘탈플라스틱’ 선언은 소비 활동의 축소다. 일회용 플라스틱을 쓰는 제품과 서비스를 불매하고, 대체재가 없으면 소비하지 않아도 된다. 배달 음식의 일회용 플라스틱 포장재가 싫다면? 배달받지 않고 요리하거나 외식하면 된다. 선택지가 줄어 조금 불편하더라도 방법은 있다.

기업 입장은 다르다. 기업의 탈플라스틱 선언은 생산 체계의 재창조다. 제품과 서비스에 일회용 플라스틱이 투입된다면, 대체재를 찾아야 한다. 생산을 중단할 수는 없다. 배달 음식의 일회용 플라스틱 포장재를 없애려면? 일회용 플라스틱 포장재의 대안을 고민해야 한다. 매출의 일부를 구성하는 배달을 전면 포기할 수는 없다.

대안이 부족하면 한계에 맞닥뜨린다. 탈플라스틱 선언이 동력을 잃을 수도 있다. 실제 탈플라스틱 업체로 주목받았던 두 글로벌 기업, 코카콜라와 스타벅스가 올해 플라스틱을 재선택했다. ‘플라스틱 회귀’ 현상이다.

기업의 탈플라스틱에 대한 이상은 현실의 벽에 부닥치는 경우가 많다. 흔히 생각하듯 환경의 가치를 무시하는 탐욕적인 이윤 추구가 목적인 경우는 드물다. 플라스틱이 대량생산되기 시작한 1950년, 그 이후 70년 동안 플라스틱이 보편적 소재로 자리..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