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을 합친 국내 탈모 치료제 시장 규모는 수조원에 달한다. 사진 조선일보 DB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을 합친 국내 탈모 치료제 시장 규모는 수조원에 달한다. 사진 조선일보 DB

혈관확장제·비타민 등을 주사기에 넣어 두피에 주입하는 메조테라피부터 모발 이식, 탈모 방지 샴푸, 한약에 이르기까지 그간 탈모 시장에 등장한 치료법은 많다. 그중에서도 덩치가 가장 큰 영역은 ‘약물’이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국내 탈모 치료제 시장 규모는 2018년 1228억원(처방약 기준)으로 전년(1093억원)보다 12.3% 커졌다. 일반의약품까지 합치면 시장 덩치는 조 단위로 불어난다. 빠른 성장의 비결은 단연 ‘치료 효과’다. 아직 어떤 탈모 치료법도 약물의 효능을 넘어서지 못한다.

탈모약 시장의 대표주자는 미국 제약사 머크(MSD)가 세계 최초로 선보인 경구용 탈모 치료제 ‘프로페시아(성분명 피나스테리드)’다. 프로페시아는 1997년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얻었고 국내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000년 허가했다. 2008년 특허 만료 후 100여 종의 제네릭(복제약)이 쏟아져 나왔지만, 프로페시아는 여전히 피나스테리드 계열 탈모약 시장의 절반가량을 장악하고 있다. MSD는 한국에서 프로페시아 하나로만 연간 400억원 이상의 매출액(2018년 기준)을 기록 중이다. 국내 발매 첫해(2000년) 매출액 47억원보다 9..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