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문을 연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이 정상 궤도에 오르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 한국은 고령화 속도가 그 어느 나라보다도 빠른 만큼, 디지털 헬스케어를 통한 향상된 의료 서비스 제공이 필수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목소리다. 고령화 속도가 의료 인력이 증가하는 속도보다 훨씬 빠른 데다 여전히 성행 중인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 현 의료 시스템만으로는 대처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세계 주요국은 일찍부터 이런 문제를 인식하고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인 디지털 헬스케어 육성 정책을 펼쳐왔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각종 의료 정보가 집적된 빅데이터가 필수적인 분야인 만큼 민간의 힘만으로는 성장이 불가능한 탓이다. 앞서나가는 해외 주요 정부의 디지털 헬스케어 육성 사례를 살펴봤다.

케이스 1│덴마크ICT 인프라 완비된 ‘슈퍼 병원’ 구축

덴마크는 세계적으로 보건·의료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정보통신기술(ICT) 활용을 자랑하는 나라다. 원격 의료를 포함해 국민 복지 증진을 위한 ‘커넥티드 케어(사람과 기술·의료 데이터를 연결하는 것)’의 표준화를 최초로 제안한 국가다.

현재 유럽의 원..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