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전문대학원(MBA)이 전화위복(轉禍爲福)의 기회를 맞았다.
경영전문대학원(MBA)이 전화위복(轉禍爲福)의 기회를 맞았다.

“스타트업에 경영전문대학원(MBA) 출신을 고용하라고 더는 조언하지 않습니다. MBA가 가르치는 스킬과 변화 주기가 빠른 스타트업이 필요로 하는 것의 미스매치가 크기 때문이죠.”

기술 기업가이자 학자인 비벡 와드화는 2013년 월스트리트저널 칼럼에서 이렇게 썼다. 그간 채용 시장에선 ‘MBA 위기론’이 빈번히 거론됐다. 2000년대 초반 MBA는 국내외에서 승진과 전업을 위한 등용문(登龍門)으로 작용했다. 풀타임 2년제 학비가 1억원을 넘어섰지만, 거액을 투자할 만한 값어치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여러 학교가 중구난방식으로 MBA를 만들면서 학위는 보편화됐다. 학교보다 현장에서 얻을 것이 더 많다는 ‘반(反)학벌파’도 늘었다. 이에 따라 MBA 지원율도 감소했다. 미국 경영대학원입학위원회(GMAC)에 따르면, 2019년만 해도 전 세계 371개 MBA의 총지원자 수는 전년보다 6.9% 떨어졌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MBA가 회생의 기회를 얻었다. 경제침체기엔 구직활동이 줄고 학위를 취득하는 사람이 늘어난다. 1~2년 과정의 MBA를 마치고 나면 경기회복기와 맞물려 구직이 수월한 덕분이다. 6월 22일(현지시각)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