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호서울대 농경제학 학·석사, 미네소타대 응용경제학 박사, 농림축산식품부 통상 자문위원, 국회 입법지원 위원, 기획재정부 재정사업 평가위원,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위원 / 사진 최상현 기자
김한호
서울대 농경제학 학·석사, 미네소타대 응용경제학 박사, 농림축산식품부 통상 자문위원, 국회 입법지원 위원, 기획재정부 재정사업 평가위원,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위원 / 사진 최상현 기자

식량 안보는 체감하기 어려운 위기감이다. 한쪽에서는 “대한민국의 식량 안보는 취약하다”며 “식량자급률을 높일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는데, 다른 한쪽에서는 “우리 쌀이 남아돈다”라며 정부 수매를 요구한다. 식량 안보를 둘러싼 상반된 관점은 팬데믹(pendemic·감염병 대유행) 국면에서도 좁혀지지 않고 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50년 만에 최악의 식량 위기가 닥칠 것”이라고 경고했지만,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세계 식량 가격은 수요 위축으로 오히려 하락했다.

‘이코노미조선’은 농산물 무역과 세계 식량 산업 분야의 전문가인 김한호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를 8월 13일 서울대 관악캠퍼스 연구실에서 만나 ‘우리 식량 안보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그에 맞는 해법을 제시해달라’고 요청했다. 김 교수는 “쌀이라는 곡물에 한해서는 공급 과잉 수준으로 자급률이 높은 게 맞다”면서도 “쌀을 제외한 대부분의 식량에 대해서는 취약점을 노출하고 있는 것이 우리 식량 안보의 실상”이라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로 인한 식량 위기는 주로 개발도상국에 국한될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