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시장에서 이과계열 직무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전문성 있는 커리어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고용 시장에서 이과계열 직무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전문성 있는 커리어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흑점이 폭발해 플라스마 입자가 방출되는 현상으로 자연재해, 금융 쇼크, 테러에 이어 인류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꼽히는 ‘이 현상’은 무엇일까요?”

“문과라 죄송해요.”

2016년 6월 26일 KBS TV 프로그램 ‘도전 골든벨’에서 끝내 정답을 찾지 못한 한 학생이 써올린 문구는 곧 문과계열 대학 재학·졸업생들이 입버릇처럼 달고 다니는 자조적인 ‘문송합니다’가 됐다. 점점 문과계열 전공자에게 가혹해지는 취업 시장 때문이다. 이 시기에 이미 삼성, LG, 현대 등 대기업의 신입사원 공채는 이과계열 직무 비율이 80%를 넘겼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는 경제 활동의 중심축을 비대면 공간으로 이동시켰다.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소비가 실행되고 데이터를 통해 고객과 소통하는 비대면 공간의 언어는 ‘말’이 아닌 ‘기술’이기에 이과계열 직무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졌다. 반면 인사·총무·사무와 같은 대표적인 문과계열 직무들은 소프트웨어로 대체되거나 그 비중이 작아졌다. 문과 직장인들이 ‘앞으로 어떻게 커리어를 이어나가야 하냐’는 위기감을 느끼는 이유다.

전문성에 목마른 문과 직장인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돌파구를 찾기 위해 노력..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