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은 과거 분식회계로 실적을 부풀리고 성과급 잔치를 벌여 물의를 빚었다. 사진 연합뉴스
대우조선해양은 과거 분식회계로 실적을 부풀리고 성과급 잔치를 벌여 물의를 빚었다. 사진 연합뉴스

‘기아차부터 대우조선해양, 대한전선까지.’ 기업사 흥망성쇠가 있다지만, 세 기업의 역사는 유독 부침이 심하다. 한때 우리나라 재계를 주름잡았던 이 기업들은 한순간에 무너졌다가 재기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선진 모델로 불리던 전문경영인 체제를 도입했지만, 되레 뒤통수를 맞았다는 점도 비슷하다. 세 기업의 몰락은 감지할 수도, 피할 수도 있었다는 점에서 더욱 뼈아프다. 수년이 지나도 이 기업들의 몰락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불투명한 경영이 기업 몰락으로 이어져

1997년 기아차의 회계 부정 사건은 세상을 뒤흔들었다. 당시 분식회계를 이끌었던 김선홍 전 기아차 회장은 말단사원에서 회장으로 올라선 뒤, 기아차를 재계 10위권으로 끌어올린 ‘샐러리맨 신화의 주인공’이었다. 그는 과도한 시설·사업 투자로 빚이 지속해서 늘자 수조원의 분식회계를 저질렀다. 외환위기로 자금이 경색되자 적자가 드러났고, 김 전 회장은 1998년 분식회계 혐의(횡령 등)로 4년 형을 선고받아 2년간 복역했다. 기아차는 현대차에 인수된 뒤에야 정상화될 수 있었다.

대우조선해양은 ‘제2의 기아차’라는 손가락질을 받았다. 남상태 대우조선 전 사..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