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대 약대, 전 대한약사회 회장, 제18대 국회의원, 전 사회보장정보원 원장 사진 채승우 객원기자
인류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해결 의지가 통상 5년 이상 소요된다는 백신 개발 기간을 크게 단축했다. 국제 사회의 공조는 실로 놀라웠다. 올해 초 중국 과학자들이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자를 공개한 직후 주요국과 국제기구는 견고한 백신 개발 환경을 조성했고, 글로벌 ‘빅 파마(Big Pharma)’들은 그간의 성공 경험을 총동원해 연도가 바뀌기 전 만족스러운 결과물을 선보였다. 백신 접종 기회를 먼저 얻은 이들은 감사의 눈물을 흘렸다.
아쉽게도 이 드라마틱한 전개에 한국이 낄 자리는 없었다.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 역시 최선을 다해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에 나서고 있다. 정부도 적극적인 협조를 약속했다. 그러나 글로벌 주도 세력과 비교하면 자금력·기술력·경험 등 모든 면에서 한국 앞에 놓인 길은 멀고 험하다.
바이러스의 습격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고, 각국의 ‘백신 주권’ 경쟁은 점점 치열해질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 보건 당국과 제약·바이오 업계는 무엇부터 해야 할까. 힌트를 얻기 위해 12월 10일 서울 방배동에 있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를 찾았다. 이곳에서 만난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하나의 스타 기업이 시장 전체를 주도할 수 없는 제약·바이오 분야의 특성을 잘 이해하면서 산업 육성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원 회장은 규제와 진흥 정책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정부 편제에 대한 필요성도 강조했다...
ⓒ 조선경제아이 & economychosun.com
이번주 인기 기사
-
애플이 자율주행차를 만든다는데 페라리 가격대로 출시?…‘애플카’를 둘러싼 說·說·說
-
[Interview] 美 배터리 스타트업 ‘실라(Sila)’ CEO 진 베르디체브스키 “테슬라에서 배운 도전 정신…배터리 재료 새 표준 노려”
-
[AUTO] 더 큰 SUV가 온다 길이 5m 넘는 대형 SUV 4종 출시…‘차박’ 열풍에 관심
-
[Interview] 정인교 인하대 국제통상학과 교수 “바이든 시대, 트럼프보다 더 센 美 우선주의…韓 기업 현지생산 등 대책 찾아야”
-
바이든 경제라인 키워드 ‘여성·인종 다양성’ 美 사상 첫 女 재무장관·첫 아시아계 USTR 대표
-
[최원석의 글로벌 인사이트 18] 다임러 감독이사회 의장에 오른 베른트 피셰츠리더 BMW·VW CEO 출신, 벤츠로 복귀…중대 변화 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