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대 경제학, 미 캘리포니아대 경제학 석·박사, 유엔개발계획·아시아개발은행 컨설턴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 현대경제연구원 원장 / 사진 조선일보 DB
“세계 경제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확보한 선진국을 중심으로 내년 하반기부터 회복할 것이다.” 강인수 숙명여대 경제학부 교수는 12월 11일 ‘이코노미조선’과 인터뷰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를 인용하며 이렇게 말했다. 그러면서 강 교수는 “한국도 수출 중심으로 경제가 살아날 것”이라며 “코로나 이후 회복 국면을 장기 저성장 패턴으로 고착된 한국 경제가 반등할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신 개발 후 세계 경제 전망은.
“경기 반등 가능성이 크다. 12월 1일 OECD는 2021년 세계 경제성장률을 4.2%로 전망했다. 2020년은 -4.2%로 전망했다. 코로나19 백신 효과를 반영했다. 록다운(도시 봉쇄) 등으로 억눌렸던 경제 활동이 재개되고, 글로벌 인적·물적 교류가 늘어날 것이다. 그러나 백신 확보 속도에 따른 국가별 편차가 있을 것이다. 백신을 먼저 확보한 선진국을 중심으로 2021년 하반기부터 경제가 회복할 것이고, 1~2년 후 백신을 확보한 후진국 등도 경기 반등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경제는 어떤가.
“2021년 하반기 전후로 경제 활동을 재개한 선진국의 영향으로 해외 수요가 늘고 수출 실적이 좋아질 것이다. OECD는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을 2.8%로 내다봤다. 국내외 여러 기관의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보면 평균 3% 초반대다. 한국은 6년째 경제성장률이 2%대에 머물며 L 자형 장기 저성장 패턴이 고착됐다. 코로나19 사태로 2020년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1.1%로 떨어졌고, 코로나 이후 회복 국면을 준비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번주 인기 기사
-
애플이 자율주행차를 만든다는데 페라리 가격대로 출시?…‘애플카’를 둘러싼 說·說·說
-
[Interview] 美 배터리 스타트업 ‘실라(Sila)’ CEO 진 베르디체브스키 “테슬라에서 배운 도전 정신…배터리 재료 새 표준 노려”
-
[AUTO] 더 큰 SUV가 온다 길이 5m 넘는 대형 SUV 4종 출시…‘차박’ 열풍에 관심
-
[Interview] 정인교 인하대 국제통상학과 교수 “바이든 시대, 트럼프보다 더 센 美 우선주의…韓 기업 현지생산 등 대책 찾아야”
-
바이든 경제라인 키워드 ‘여성·인종 다양성’ 美 사상 첫 女 재무장관·첫 아시아계 USTR 대표
-
[최원석의 글로벌 인사이트 18] 다임러 감독이사회 의장에 오른 베른트 피셰츠리더 BMW·VW CEO 출신, 벤츠로 복귀…중대 변화 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