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연서울대 재료공학 학사, 카이스트(KAIST) 석사, 프랑스 블레즈파스칼대 공학 박사, 전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 전 재료미세조직 창의연구단 단장, 제8대 울산대 총장, 전 한국공학한림원 회장, 전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 제7대 포스텍 총장, 현 울산공업학원 이사장 / 사진 채승우 객원기자
김도연
서울대 재료공학 학사, 카이스트(KAIST) 석사, 프랑스 블레즈파스칼대 공학 박사, 전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 전 재료미세조직 창의연구단 단장, 제8대 울산대 총장, 전 한국공학한림원 회장, 전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 제7대 포스텍 총장, 현 울산공업학원 이사장 / 사진 채승우 객원기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연구 예산을 받은 상황이라고 치자. 이 돈을 어느 파트에 배분하고, 어떻게 쓰면 좋은지를 누가 가장 잘 알까. 당연히 KIST다. 자신들이 어떤 연구를 잘하는지 아니까. 그런데 한국은 자잘한 연구 과제까지 정부 관료가 통제한다. 믿고 맡기지 못한다.”

2020년 12월 23일 서울 광화문에서 만난 김도연(69)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현 울산공업학원 이사장) 손에는 몇 장의 종이가 들려 있었다. 사전 질문지를 빼곡히 채운 붉은색 글자들이 김 전 장관의 숙고(熟考)를 대변했다. “기왕이면 도움 되는 말을 하고 싶어 오랫동안 생각했다.” 190㎝에 이르는 장신인 그가 쑥스럽다는 듯 웃었다. 김 전 장관은 무기 재료(세라믹) 분야에서 발표한 논문만 200편이 넘는 국내 최고 권위자다.

성실한 대화를 예고한 김 전 장관이 처음 꺼낸 키워드는 ‘신뢰’였다. 연구자이자 교육자·행정가로 지낸 40여 년 동안 곳곳에서 믿음의 부재(不在)를 목격했다고 그는 말했다. “한국은 서로 믿지 못해 불행한 사회다. 불신은 정부와 출연연구기관 사이에만 있는 게 아니다. 정치·정책·기업·교육·법 등을 향한 불신이 사회 전반적으로 팽배하다. 각..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